SaaS Product 실무자들이 직접 스터디하고 아카이브하는 커뮤니티입니다.
ⓒSDA 개인의 시간과 노력이 들어간 리서치 자료인만큼 무단 복제 및 배포를 금지합니다.
SDA
SDA 프리미엄 콘텐츠
갤러리 뷰
Search
SDA 큐레이션
아래 페이지클 클릭해 ‘디자인, 테크, 커리어’ 모든 아티클을 모아보세요.
최신 테크 & SaaS
갤러리 뷰
리스트로 더 많이 보기
Search


안녕하세요, 디자이너님.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저는 20년 차 디자이너입니다. 지금 현직에서 일하고 있고 개인적으로는 쇼핑몰, 에어비앤비 등을 운영하고 있어요.
[3시간 만에 동화책을, 3초 만에 그래픽을 만들어 내는 세상]
언제 AI를 쓰기 시작하셨나요?
올해 2월부터 제대로 쓰기 시작했어요. 우연히 *미드저니를 쓰기 시작하면서 효율이 상당히 높아서 지금도 꾸준히 쓰고 있네요. 초기에 *스테이블 디퓨전도 써봤는데 에러도 좀 많고, 설치형이거든요. 그래픽 사양도 좋아야 하고 구글 서버에 올려서 써야 하다 보니 어려워서 포기하려고 했는데 그때 미드저니를 알게 됐어요. 다양한 이미지 생성형 AI를 써봤는데 미드저니 하나면 제가 원하는 그래픽의 80% 이상은 결과물로 뽑을 수 있겠다 싶어서 ‘미드저니’를 주로 씁니다.
•
Midjourney(미드저니): 보다 예술적인 스타일 https://docs.midjourney.com
•
Stabledifusion(스테이블디퓨전): 다양한 분야에 사용, https://stablediffusionweb.com
미드저니를 주로 어디에 쓰시나요?
일단 AI 툴이 어느 정도 익숙해질 때까지 써보자 싶어서 프린트 티셔츠 제작에 들어가는 그래픽도 만들어 보고, 동화책도 만들어 보고 다양한 데 썼어요.
첫 시작은 제가 쇼핑몰을 하니까 프린팅 티셔츠를 제작해서 팔아보려고 했어요. 프린팅 티셔츠에 들어가는 그래픽을 만들어 내는 게 쉽진 않거든요. 그런데 미드저니를 쓰고 그래픽이 ‘3초’ 만에 나오니까 너무 너무 쉬운 거예요.
그리고 동화책을 만들 때는 ‘ChatGPT’로 글을 쓰고, ‘미드저니’로 이미지를 만드니까 한 세 시간도 안 걸려서 동화책을 한권을 뚝딱 쓰더라고요. 이미지 통일성을 높이고 완...
AI와 디자인: 20년 경력 디자이너의 시각 1편
2023/07/02 04:30
테크
디자인
일과 삶
갤러리 뷰
리스트로 더 많이 보기
Search

최근 ‘지로의 꿈’이라는 다큐멘터리를 봤다. 70년이 넘는 세월 동안 같은 자리에서 ‘스시’를 만들어온 지로. 매일을 한결같이 살아내는 그와 그의 아들, 제자의 모습이 업이란 무엇인가, 일이란 무엇인가 되돌아보게 했다.
프로덕트 디자이너, UX 디자이너, IT 서비스 디자이너 많은 이름으로 불리는 직업. 공과 대학 학생으로 입학했던 내가 디자인이라는 분야를 알게 됐고, UX 분야에 매료되어 지금은 프로덕트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다.
내가 선택한 직업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프로덕트 디자이너라는 직업적 특성, 일하는 환경적 특성이 나라는 사람을 많이 바꾸었고 형성했다. 여전히 나의 업을 진심으로 사랑하고, 나의 업이 나라는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고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 되돌아본다.
무언가 만들어 내는 창작의 기쁨
모든 인간은 무언가를 만들어 내는 것 자체에 대한 근원적인 창작 욕구가 있다고 한다. 나는 어릴 적부터 그런 욕구가 꽤나 높은 어린이였고 손으로 그림을 그리고 무언가를 만들어 내고 실험하는 것을 참 좋아했다.
그래서인지 내가 디자이너라는 직업을 택하게 된 이유는 내가 가진 생각, 아이디어를 표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는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훌륭한 수단이기 때문이다. 글로 전달하면 작가일 것이고, 사진으로 전달하면 사진작가일 것이고, UXUI 디자인으로 전달하면 프로덕트 디자이너가 될 것이다.
회사에서는 가치와 수익을 만들어내기 위한 특정 목적을 가지고 디자인하지만, 내가 무언가를 그려내고, 글로만 존재하던 것을 가시화하고, 개발되어 결국에는 필요로 하는 사용자에게 쓰인다는 행위 자체가 주는 기쁨이 있다. 대학생 때는 항상 그림으로만 남아 사라지는 게 참 아쉬웠는데, 처음 일을 시작하고 나서 고심해서 그려둔 시안이 다음 날 개발되어 실제 동작할 때의 짜릿함을 아직도 잊지 못한다.
당연해지는 평생 학습
디자이너로 일을 하면 평생 학습이 당연해진다. 내가 맡는 프로덕트를 제대로 디자인하기 위해서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 사용자가 일하는 환경, 그들의 불편함과 필요를 끝까지 파헤치고 학습해야 한다.
학생들에게는 절망적일지도 모르겠지만 ㅎㅎ 인생은 죽을 때까지 배움의 연속이라고 한다. 그리고 그 말에 동의한다. 졸업한다고 공부가 끝나진 않는다. 요새 나는 초중고대학교를 통틀어 그 어느 때보다 즐겁게 그리고 열심히 공부하고 있다.
디자이너라는 업을 하면서 무언가에 대해 리서치하고, 직접 경험해 보기도 하고, 찾아가서 묻는 것이 자연스러워져서인지 디자인을 넘어서서 내가 관심이 가는 것을 찾아 공부하는 과정도 굉장히 자연스럽고 당연하게 느껴진다. 무언가를 배우고 적용해 보고 실패하고, 다시 배우는 그 과정이 즐겁다.
시간이 흐를수록 높아지는 전문성과 자신감
디자이너라는 직업은 시간이 지날수록 전문성이 쌓인다. 일하는 회사나 분야에 따라 특성은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이라는 궤를 같이한다. 매일, 매달, 매년이 사용자 경험 전문가가 되어가는 여정이다.
그래서 ‘퇴직하면 뭐 하지’라는 고민이 ‘뭐 먹고살지’라는 고민이 아니라 정말 ‘어떤 멋진 제품, 서비스를 만들어 낼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이 된다. 개인적으로 지금은 디자이너로 일하고 있지만 미래에 상황이 갖추어졌을 때 창업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는데, 그런 꿈을 꿀 수 있게 하는 밑바탕에는 어떤 회사에 가서든 또는 어떤 상황에서든 활용할 수 있는 직업적인 전문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그 점이 참 감사하다.
프로덕트 디자이너라는 업이 내 삶에 주는 의미
2023/11/25 06:12
태도
일

A long-form post: what does it mean to achieve higher and higher levels of design?

I’ve gotten asked a few times what I thought of Brian Chesky’s talk on leading through uncertainty: a design-led company. So I’m shoving aside the regularly scheduled issue for a spicy take on Should we get just get rid of all those pms?
Just kidding! This essay isn’t about that at all. Or maybe it is. You be the judge!
First things first: I loved the talk. I love Brian Chesky. I love that he makes it real for so many designers that yes, it is indeed possible to co-found and run a Fortune 500 profitable, paradigm changing company as a self-identified designer. I love how he practically yelled at a room of the biggest design audience in the world that they need to have nerve, so fierce was his passion. I laughed when he said Airbnb got rid of pms — I mean, clearly they didn’t (he later clarified it was combined with the pmm role), but it was was an ace serve, a perfect nugget in this era, for this group, to stir debate and reflection.
Let’s put aside pms for a minute.
Yes, the thing I loved most was the call to action for design. Think bigger, he was saying. Stop being afraid of those trench lines dug by your teammates or your last company or the LinkedIn subtitle below your name. Don’t look at your job as a battle for voice and relevance.
Instead, tell yourself: it’s possible to design at higher levels. It’s well within your control to level up.
What does leveling up mean?
As you go up the ladder, the problems get more ambiguous. In fact, at the highest level depicted here, you must go spelunking in search of the problem yourself!
The Looking Glass: Higher Level Design
2023/10/21 11:41
디자인
태도

이전 글을 본 어떤 동료가 이제 힐링물이 필요하다고 얼른 희망편을 써달라고 하셔서(ㅋㅋ) 용기 내어 다시 브런치를 열었다. 뭐 그리 대단한 건 없지만 이전 글 마지막에서 썼던 것처럼 이번엔 내가 희망을 느끼게 한 것들을 위주로 써보려고 한다. 주제가 주제인만큼 이번 글은 훨씬 가벼운 마음으로 썼고, 가볍게 봐주셔도 된다. :)
1. 팀워크
2. 성숙한 사회관계
3. 나는 특별한 걸 만들고 있다!
4. 일을 진행시켜 볼 기회들
마치며
1. 팀워크
멤버도 적고 디자이너는 여전히 나 하나일 때, 기댈 곳은 옆에 있는 동료들밖에 없었다. 천천히 디자이너를 어렵게 채용했는데, 지금 나를 제외한 3명의 프로덕트 디자인 셀 동료들이 있어 셀 동료들도 많이 의지하고 있다.
우리 제품은 건설 데이터를 한 곳에서 모두 다루려다 보니 기능별 종속성이 매우 강한 편이다. 그래서 뭐 하나 건드리는 게 쉽지가 않다. 어쩌다 요청받은 기능을 추가하려고 하거나 바꾸려고 하면 이런저런 데이터와 너무 많이 엮여있다 보니 개발자 분들과 얘기하고 QA 하다 보면 사이드 이펙트나 엣지케이스가 99999개씩은 나오는 것 같다... 하나하나 대응하다 보면 나중엔 본래 기획대로 할 수 있는 게 거의 없을 때도 많은...
ㅎㅎ 우리 어떡하죠!
제품뿐만 아니라 영업이든 홍보든 너무 어려운 숙제를 풀어야 할 때가 많은데, 어쨌든 답도 없고 막막한 이 상황을 잘 알고 있고 서로 이해할 수 있는 사람들이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큰 위로가 될 때가 많다. 그 안에서 함께 어떻게든 해결해 보려는 의지도 다질 수 있고. 물론 서로 생각하는 우선순위가 다를 땐 의견을 조율하는 과정이 힘들긴 했지만, 혼자서는 완성할 수 없는 일들을 해낸다는 감각이 곧 신뢰가 되기도 했다.
다만 이렇게 성과를 확인할 수 없고 어려운 게 많은 환경은 오히려 팀이 폭파될 수도 있으니 조직을 운영하는 입장에서는 굉장히 주의해야 할 점이라고 생각한다... (이전 글 참고...)
4년간 버티컬 B2B 제품을 만들며 내가 얻은 것들
2023/08/19 07:40
커리어
일

나는 자타공인(?) 도전형 인간이다.
언제나 새로운 것을 배우고 경험하는 것을 좋아하고, 지금까지 안정보다는 도전을 택하며 살아왔다. 쉬는 것을 싫어하는 일 중독은 아니지만, 스스로의 성장과 도전을 멈추는 순간, 내가 아는 패턴이 계속해서 반복되는 순간, 나는 삶이 지루하거나 재미없다고 느낀다.
이렇게 공부하고 제작하고 공유하는 과정이 즐겁고 그에 따른 결과도 즐겁지만, 가끔은 스스로에게 의문이 들기도 한다. '나는 왜 이렇게까지 무언가를 새로 공부하고, 콘텐츠를 제작하고, 공유하려고 애쓸까?'. '재밌으니까!'라고 자문자답을 하긴 했지만 썩 명쾌하진 않았다.
그러다 친구의 추천으로 'How Dopamine helps you keep going when things get tough' 라는 제목의 도파민에 대해 다룬 영상을 보게 되었고, 갑자기 뇌과학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가 솟구쳤다. 심지어 영상을 한글로 번역하기도 했다. (힘들 때 계속하도록 돕는 도파민의 비밀)
도파민과 뇌과학에 대해 검색하며 공부하던 중에 뇌과학과 일상에 대해 다룬 책 한 권을 알게 되었다. 책 제목은 "당신의 뇌는 최적화를 원한다". 책에서는 신경 전달 물질 일곱 가지와 이 신경 전달 물질이 인간의 행동, 감정, 기억, 역량과 어떻게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이를 일상과 일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책에 굉장히 흥미롭고 도움이 되는 이야기가 많아서 정말 대부분의 문장을 밑줄 그으며 읽었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도파민' 파트가 흥미로웠다. 내 행동 패턴과 굉장히 닮아 있기 때문이다. 책 내용 중에 도움이 될만한 내용 일부를 추려 내 경험과 함께 공유하고자 한다.

인간의 행동, 쾌감을 추구하거나 불쾌함을 회피하거나
인간의 행동은 크게 두 가지밖에 없다고 한다. 쾌감을 추구하거나 불쾌함을 회피하거나. 그중 도파민은 쾌감 자극을 받으면 나오는 물질이다.
도파민은 의욕과 열정의 행복물질이다. 행복은 누군가로부터 받는 것도 아니고 어딘가에서 쟁...

내가 끊임없이 도전하는 이유, 뇌과학에서 답을 찾다. - 도파민 강화 학습을 삶에서 이용하기
2023/08/19 06:49
뇌과학

안녕하세요,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무엇을 하면 내 인생을 재미있고 행복하게 채워갈 수 있을까를 모토로 삼고 살아가는 김동환이라고 합니다. 그 재미 중 하나로 현재는 쿠팡에서 PO(Product Owner)로 재직 중이고 샤인이라는 부캐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링크드인)
아무리 보고 배워도 실력이 부족하다고 느껴질 때 어떻게 극복할 수 있을까요?
아까 얘기했던 시뮬레이션 해보는 것과 이어지는 맥락 같아요. 다른 곳에서 시뮬레이션을 통해 시행착오도 겪고 연습해 보시고 현업에서는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게 하는 연습을 많이 했고, 도움이 많이 됐어요.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간단하게 이 자리에 맞는 상황을 지유님께 하나 여쭤볼게요.
동환: 상대방을 인터뷰할 때 펜으로 적을지, 노트북으로 타이핑할지 둘 중에 뭘 선택하시겠어요?
지유: 저는 우선 녹음이요.
동환: 왜 제가 2가지 선택지를 드렸는데도 이 짧은 순간에 펜과 노트북 대신 선택지에 없는 녹음을 선택하셨어요?
지유: 한 번 인터뷰하면서 녹음을 해본 적 있어서요.
바로 이런 거 같아요. 어떤 업무를 하면서 그게 어려운 이유는 익숙하지 않아서 그런 거거든요. 우리는 일상생활에서도 노트북으로도 타이핑해 보고, 핸드폰 녹음도 해보고, 노트에 직접 수기로 필기도 해보고 이런 경험들이 굉장히 많잖아요. 그러다 보니까 제가 펜과 노트북 두 가지 선택지만 드렸는데도 불구하고 본인에게 맞는 세 번째 선택지로 더 효율적인 프로세스를 생각해 내고 선택한 거잖아요.
저는 이게 연습과 경험의 차이라고 생각해요. 어떤 업무를 할 때 어려운 거는 내가 익숙지 않고 내가 깊게 경험해보지 못해서 몰라서 잘 안 보이는 거라고 생각해요. 처음에는 안개가 낀 것처럼 잘 안 보여요. 하지만 많이 알면 알수록 안개가 걷혀서 잘 보이고 선택하고 업무 하는 게 조금씩 쉬워져요. 그래서 좀 더 몰입하다 보면, 잘 보이고, 잘해지고, 그러다 보니 또 재밌어질 거라고 생각해요.
이제 취준을 시작했어요. 맞는 ...
경력 12년 차 현직 쿠팡 PO와의 Q&A 2편 - 취업 준비와 이직준비
2023/06/20 14:13
커리어
취업/이직

안녕하세요,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무엇을 하면 내 인생을 재미있고 행복하게 채워갈 수 있을까를 모토로 삼고 살아가는 김동환이라고 합니다. 그 재미 중 하나로 현재는 쿠팡에서 PO(Product Owner)로 재직 중이고 샤인이라는 부캐로 활동하고 있습니다. (링크드인)
PO는 어떤 일을 하나요?
기본적으로는 프로덕트에 대한 비전, 전략 그리고 로드맵 등을 수립하고 결정하는 업무를 해요. 예를 들면 프로덕트가 A와 B라는 방향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순간이라고 가정했을 때, A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지만 우리에게는 굉장한 이득을 주고, B는 사용자에게 좋은 임팩트를 주지만 우리가 취할 수 있는 이득은 상대적으로 낮아요. 그럼 여기서 A와 B 둘 중에 어떤 방향을 선택해야 할까요? 그리고 해당 프로덕트에 정말 올바른 방향은 무엇인가 결정해야 하는데 이 프로덕트의 비전과 로드맵을 기준으로 고객한테도 좋은 임팩트를 전달할 수 있고, 우리에게도 긍정적인 방향성을 선택해서 결정하고 책임지는 사람이라고 보면 될 것 같아요.
쿠팡에서는 IC PO로서 일하신다고 들었어요. PO도 IC와 Manager 트랙이 따로 나뉘나요?
PO가 IC와 Manager로 나뉜다기보다는 쿠팡 입사과정에서 IC와 Manager 트랙 중 어느 트랙으로 제 커리어를 만들어갈지 결정하는 순간이 있었어요. 그래서 저는 Manager보다는 IC에 포커스 맞춰서 쿠팡에 입사를 했고 현재는 PO로서 특정 프로덕트를 깊이 있게 바라보면서 연관된 다른 도메인까지 학습해 가는 과정을 거치고 있어요. 현재는 특정 프로덕트를 딥다이브하면서 비전, 로드맵 수립, 플래닝을 하면서 동시에 이해관계자의 리소스를 관리하고 업무를 할당하는 것 같이 커버하고 있어요. 그리고 추후에는 IC로서 쿠팡의 프로덕트를 어떤 비전과 로드맵을 가지고 디자인해서 나갈지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될 것 같아요.
Manager 트랙을 타는 경우에는 피플 매니징을 더 깊게 해요. 하지...
경력 12년 차 현직 쿠팡 PO와의 Q&A 1편 - PO로서의 경험과 스킬셋
2023/06/20 14:13
커리어
채용 공고
진행 중
마감
Search
프로덕트 UXUI 딥 다이브
갤러리 뷰
리스트 뷰
Search
Product News Channel
•
Product hunt: 해외 최신 프로덕트 https://www.producthunt.com/
•
Disquiet: 국내 최신 프로덕트 https://disquiet.io/
•
Thehit: 국내 IT 서비스 https://the-hit.co/
•
그툴: 카테고리 별 서비스 https://geutool.com/
Research Articles

프로덕트 리서치 플레이북

프로덕트 감각은 왜 필요할까?
•
초보 메이커가 프로덕트 감각을 갖춘 디자이너로 거듭난 이야기
•
어디서부터 배워나가야 할지 막막할 때 필요한 '분석하는 습관'
•
소셜 네트워크·스터디·플랫폼을 통해 함께, 꾸준히 성장하는 방법
저자 한지유
hyperquery 프로덕트 디자이너 > 프로필 더 보기
프로덕트 감각이란 주어진 환경과 제약을 파악하는 능력이자 최적의 솔루션을 제안하는 힘입니다. 이를 통해 어떤 아이디어, 어떤 디자인이 사용자에게 더 좋은지, 어떻게 하면 더 적은 리소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프로덕트 감각은 프로덕트를 만드는 메이커(PM, 기획자, 프로덕트 디자이너, 개발자 등)에게 필수적입니다.
신규 프로덕트 혹은 신규 기능이 사용자에게 정말 반응이 있을지 없을지는 출시 전에는 그 누구도 정확히 예측할 수 없습니다. 데이터에 기반한 의사 결정은 프로덕트가 어느 정도 구축되고 유저 데이터를 쌓은 후에 가능합니다. 즉 새로운 기능과 프로덕트를 만들 때, 우리는 일정 부분 이상을 메이커의 '감각'에 의지할 수밖에 없습니다.
또 각 회사와 팀은 모두 다른 상황에 놓여 있어서 다른 팀의 솔루션을 그대로 적용하기도 어렵습니다. 어떤 회사는 PMF(Product Market fit)를 찾기 위해 기존 시장에는 존재하지 않는 혁신적인 기능이 필요할 수 있고, 어떤 팀은 개발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최상의 솔루션이 아니더라도 당장 실현 가능한 기획을 해야 할 수 있습니다. 또 어떤 프로덕트는 UX가 너무나 중요해서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반드시 사용자를 위한 최상의 솔루션을 찾아내야만 시장에서 승산 가능성이 있죠.
그런데 하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 하나의 솔루션만 알고 있다면, 그 방법 말고는 시도할 수 있는 게 없습니다. 학습과 경험을 통해 이미 여러 가지 솔루션을 알고 있다면 현재의 조건과 상황에 가장 잘 맞는 방법을 판단하고 제안할 수 있겠죠.
저는 데이터 분석가를 대상으로 하는 B2B SaaS(Software as a Service)를 만드는 초기 테크 스타트업에 첫 번째 디자이너로 합류했습니다. 과정 중에 크고 작은 두 번의 *피벗(pivot)이 있었고, 지금도 PMF를 찾는 과정에서 계속해서 신규 기능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
피벗(pivot): 초기에 수립한 비즈니스 모델, 경영 전략, 서비스 운영방식 등을 중간에 바꿔 다른 성격의 사업으로 이전하는 것을 말합니다.
솔루션을 생각해내는 힘, 프로덕트 감각을 키우는 학습법
리서치
프로덕트 UXUI 인사이트
아카이브 모아보기 (클릭) → 전체 페이지로 편하게 보실 수 있어요.